IT | 모바일

홈페이지 블로그 가치 평가 방법

Sponet 2021. 10. 9.

 

1. Worthofweb.com 가치 평가 사이트

 

위 사이트는 홈페이지, 블로그, 사이트의 가치를 평가해 준다. 사이트 접속 후 좌측에 "Website Value Calculator"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Analyze a Website" 아래 빈칸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Analyze" 버튼을 클릭한다.

 

WorthofWeb.com 이동하기

 

궁금증이 생겨서 알아봤다. 대한민국 대표 사이트 네이버의 가격은 얼마인가?

 

 

네이버의 가치는 3조7천억 달러이고, 1일 수입은 115만 달러, 1달 수입은 3,470만 달러, 1년 수입은 4억1천6백만 달러이다. 그러하다...ㄷㄷ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네이버는 유저들의 검색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마어마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2. siteprice.org 가치 평가 사이트

 

siteprice는 앞의 사이트보다는 심플히다. 하지만 여기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사이트 가치 평가 사이트이다.

 

첫 화면 접속하면 바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는 창이 있다. 여기다가 바로 도메인 주소를 넣는다.

 

siteprice.org 이동하기

 

이번에는 호기심에 daum.net 사이트를 검색해봤다. 검색하고 조금의 시간이 흐른다.

 

 

누군가가 2021년3월에 다음의 가치가 궁금했나보다. 이미 조회한 이력이 있다. 근데 다음은 네이버에 비해서 굴욕적인 가치가 나왔다. 다음의 가치가 181만달러?? 

 

아무리 네이버가 다음을 압도했다고 하더라도 사이트 가격 차이가 너무 심하다. 음.. 어느 것이 맞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두 군데다 자신만의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가치를 평가해 주고 있다.

 

 

여러분도 만약 홈페이지 또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한번 들어가서 조회해 보길 추천한다. 내가 열심히 가꾼 홈페이지가 매번 조회할 때마다 가격이 올라가 있다면 큰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 네이버 또는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하위도메인으로 가치 평가가 불가하다.(blog.naver.com / xxx.tistory.com) 블로그를 2차 도메인으로 연결했을 때만 가치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댓글

추천 글